엘리의 눈_Ellie's Eye_차재민_Jeamin Cha


엘리의 눈_Ellie's Eye_차재민_Jeamin Cha
Korea / 2020 / Color / Sound / 11 min
2025년 7월 29일(화) 오후 7시 (97 분) GV
Tue. Jul 29, 2025 at 7:00pm (97 min) GV
@ 한국영상자료원 시네마테크KOFA 2관 Korea Film Archive Cinematheque KOFA Theater 2
Description
<엘리의 눈>은 에세이를 바탕으로 파운드 푸티지와 직접 촬영한 장면이 섞여 있는 영상이다. 엘리는 개발 중인 AI 심리상담사의 이름이자, 영상에 등장하는 개의 이름이다. 개와 AI 아바타는 인간의 하위 주체로서 동질성을 가진다. 이 영상은 치료 목적으로 고안된 기술들이 인간의 투시 욕망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엑스레이, 벽 투시, AI 심리 상담 기술을 순차적으로 소개한다. 또한 눈, 바라봄, 시선에 대한 사실과 픽션을 교차한다. 의료 목적의 투시와 이미지는 신체 건강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며 비약적으로 발전해왔다. 한편으로 심리와 정신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 또한 이미지에 버금가는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 영상은 미래의 사회와 기술이 각기 다른 개인의 정신적 문제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을지, 더 나아가 인간의 심리가 사물화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질문하고 있다.
Ellie’s Eye is an essay-video comprising found and original footage. Ellie is the name of an AI therapist in development at the time of writing, as well as the name of one of the dogs featured in the work. Dogs and AI avatars are similar in that both are dependent on humans. Ellie's Eye examines how technologies invented for medical treatment relate to the human desire to see through, and into—such as x-rays, through-wall movement sensing, and AI-assisted psychotherapy. In the process, the work intertwines facts and fiction about the eye, eyesight, and the act of seeing. Medical scans and image technologies, tools that produce evidence of physical health or the lack thereof, have made rapid progress in the recent past; meanwhile, technologies for mental diagnosis are also developing at a similarly fast pace. This work interrogates how future societies and technologies can approach psychological issues of different individuals, and whether we are objectifying the human psyche it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