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eeting

 

82개국, 2,300여 편. 올해 공모를 통해 들어온 작품의 숫자입니다. 이 숫자가 말해주는 것은 단순합니다. 실험영화가 더 이상 변방이 아니라는 것. 전 세계가 우리에게 주목하고 있다는 것. 그리고 22년째 이어온 이 질문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

과연 실험영화란 무엇인가? 매체로서의 필름은 여전히 유효한가?

올해 우리는 에이미 할펀, 로버트 비버스의 필름들을 상영합니다. 필름이 갖고 있는 고유한 정서를 진짜 필름 상영으로 마주해보시기 바랍니다.

EX-IS. "Ex"는 이전을, "Is"는 현재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더 정확히 말하면, 과거의 실험정신이 지금 이 순간 어떻게 살아 숨쉬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우리의 역할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는 묻습니다. 지금 여기서 가능한 실험은 무엇인가? 한 프레임의 의도적인 선택이, 예상치 못한 사운드의 개입이, 누군가의 세상을 조금은 다르게 바라보게 만들 수 있을까?

7월 24일부터 31일까지, 8일간의 여정이 시작됩니다. 한국영상자료원과 MMCA, 충무로의 새로운 공간 소리그림에서 만나게 될 모든 순간들이 여러분에게 새로운 질문을 건네길 바랍니다.

영화는 답을 주는 것이 아니라 질문을 만드는 것이니까요.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집행위원장 박동현

82 countries, over 2,300 films. That’s the number of works submitted to this year’s open call. And what that number tells us is simple: Experimental cinema is no longer on the margins. The world is paying attention to us. And the questions we’ve been asking for 22 years are still relevant.

What, truly, is experimental film? Is film, as a medium, still valid today?

This year, we are screening films by Amy Halpern and Robert Beavers. We invite you to experience the unique sensibility of film through actual film projection.

EX-IS. "Ex" means the past; "Is" means the present. But more precisely, our role is to show how the experimental spirit of the past is still alive and breathing in this very moment.

Yet we continue to ask: What kinds of experiments are still possible—here and now? Can a deliberate choice of a single frame, or the unexpected intervention of a sound, make someone see the world a little differently?

From July 24 to 31, an eight-day journey begins. At the Korean Film Archive, MMCA, and a new space in Chungmuro, Sorigrim, we hope every moment you encounter brings you new questions.

Because cinema doesn’t give answers. It creates questions.

Festival Director, Donghyun Park

Experimental Film & Video Festival in 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