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밋둑_The Anthills_이소정_Sojung Lee
개밋둑_The Anthills_이소정_Sojung Lee
Netherlands / 2023 / Color, B&W / Sound / 11 min / Quicktime ProRes
Description
어느 여름, '나'는 프랑스로 잠시 떠난 휴가 중 인적이 드문 깊은 산을 등산하게 된다. 그 곳에서 처음으로 거대한 개밋둑과 마주치고 자연의 경이에 깊은 감명을 받는다. 일상으로 돌아온 '나'는 창작자로서 영감을 준 개밋둑에 대한 작업을 시작하려고 하지만, 안타깝게도 시각적 참고자료는 본인이 대강 찍어 온 짧은 영상 뿐이다. 결국 '나'는 개밋둑을 보았던 생생한 기억을 더듬으며 인터넷에 개밋둑 이미지들을 검색하기 시작하는데…
One summer, during a brief vacation in France, "I" hike through a remote, deep mountain. There, for the first time, I encounter a massive levee and am deeply moved by the wonder of nature. Returning to everyday life, I, as a creator, attempt to start a project inspired by the levee. Unfortunately, the only visual reference I have is a short video I roughly filmed myself. Ultimately, I begin to search the internet for images of levees, tracing back the vivid memories of the one I saw...
Bio
이소정(1995, 부천)은 한국과 네덜란드를 오가며 비디오 설치 작업을 합니다. 현대 디지털 시각 문화에서 재맥락화된 이미지를 탐구하며, 쉽게 조작 가능한 데이터로 존재하는 취약한 형식에도 불구하고 이미지가 의미 생성 과정에서 중요하게 기능하는 점을 조명합니다. 이러한 이미지들을 ‘대체물(placeholder)’의 개념에 빗대어 묘사하고, 유동적인 디지털 이미지의 일시성과 임시성이 우리가 시간을 탐색하고 현실을 경험하는 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질문합니다.
Sojung Lee (b. 1995, Bucheon) work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Netherlands, creating video installation pieces. She explores recontextualized images within contemporary digital visual culture, highlighting how images function importantly in the process of meaning-making despite their fragile forms as easily manipulated data. She describes these images through the concept of “placeholders” and questions how the transience and temporariness of fluid digital images affect the way we navigate time and experience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