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김라일락 Miss Kim Lilac _ 정지수 Jisoo Chung

미스김라일락 Miss Kim Lilac _ 정지수 Jisoo Chung

$0.00

South Korea, USA / 2024 / Color / Stereo / 18 min / 2K

jisoo070@gmail.com

EX-Now 6_국내경쟁 Korean Competition

2024년 7월 19일(금) 오후 7시 / 7월 24일(수) 오후 4시 (75 분)

Fri. Jul 19, 2024 at 7:00pm / Wed. Jul 24, 2024 at 4:00pm (75 min)

@ 한국영상자료원 시네마테크KOFA 2관 Korea Film Archive Cinematheque KOFA Theater


Description

An experimental documentary film, Miss Kim Lilac, is a story about a lilac tree called ‘Miss Kim’ that was brought to America from its native Korea and named by an American botanist. The name of the plant, once called the Su Su Kkot Dari in Korea, was replaced with Miss Kim Lilac in the United States, and changed again into Miss Gim Lilac when it was reimported to Korea. The mutation of its name is an intersection between colonial history, the commodification of nature, and the transmutive identity of female migrants. If a name is the most fundamental language framework that recognizes oneself, will Miss Kim be able to find her true self that is lost inside its multiple names? The experimental documentary film Miss Kim Lilac reimagines its history from the first-person view of Miss Kim Lilac, which intersects with the director's journey to New Hampshire to find the original specimen of Miss Kim Lilac. Miss Kim Lilac is a journey to find its true selfhood that its lost in the given name.


실험 다큐멘터리 《미스김라일락》은 광복 후 미국인 식물학자가 한국에서 씨앗을 가져가 꽃나무로 개량한 식물, 미스김라일락의 일인칭 시점으로 그 역사를 재구성 한다. 한 때 ‘수수꽃다리’로 불리던 식물의 이름은 ‘미스킴(Kim)라일락’으로 교체되었고 다시 ‘미스김(Gim)라일락’으로 불리며 여러 개로 늘어났다. 이주로 인해 여러 개의 이름으로 혼동하여 불리우는 이 꽃나무의 이름은 미국과 한국 간 정치적 문화적 힘의 역학, 문화적 전유, 여성의 대상화, 미국의 제국주의와 자본주의, 그리고 번역되어 변모하는 이주민의 정체성의 교차점에 놓이며 시공간의 지표이다. 자신을 인식하는 가장 근본적인 언어의 틀인 이름. 여러 이름을 거쳐 이제는 미스김이라는 낡은 이름으로 불리워지는 그녀. 감독은 미스김의 정체성을 찾아나서기 위해 미스김이 최초로 개량된 뉴햄프셔 농업실험장을 찾아간다. 그녀는 이름 속에서 잃어버린 미스김의 정체를 다시 찾아줄 수 있을까.



Bio

Jisoo Chung is a visual artist based in Seoul and Los Angeles. Primarily working through video and installation, she traces the sociocultural languages constructed in quotidian technology and objects. The loss of cultural identity that is evoked by linguistic failures, such as mistranslations and misinterpretations within her works, creates humor in a way that reconciles the impaired relationship that language plays in forming a sense of self. Chung’s work has been shown internationally including at Post Territory Ujeongguk, Seoul (2023); Matsutake Gallery, Paris (2023); Frieze Film, Seoul(2022); Zuccaire Gallery, New York(2022); Studio For Artistic Research, Dusseldorf(2021); NEMAF New Media Festival, Seoul(2021); Human Resources Los Angeles, CA(2021) among others. She is a fellow of MacDowell Residency and a grant awardee of the LACE Lightning Fund, Puffin Foundation, Prospect Art, KCCLA, and Seoul Arts and Cultural Council. Chung holds an MFA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and a BFA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정지수는 로스앤젤레스와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로 영상, 설치, 사진, 퍼포먼스를 주 매체로 사용한다. 그는 일상에서 발견하는 사물들을 구성하는 사회문화적 언어에 주목하여 언어와 개인 간의 관계, 그리고 그 사이에서 잃어버린 개인의 주체성을 탐구한다. 작업 내에서의 오역, 넌센스, 사물의 의인화, 비-인간의 관점은 기존의 정체성을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탈영역우정국, 서울(2023), 마츠타케 갤러리, 파리(2023), 프리즈 필름 서울(2022), 을지로 오브, 서울(2022), 주카레 갤러리 뉴욕(2022), 아티스틱 리서치 스튜디오, 뒤셀도르프(2021), 서울 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2021), 휴먼 리소스, 로스앤젤레스(2021) 등외 다수 전시했으며, 맥도웰 펠로우십, 뉴햄프셔(2024), LACE 라이트닝 그랜트, LA (2024), 서울문화재단(2023) 외 다수 기금을 수여했다. 서울대학교 서양화과에서 학사를, 캘리포니아 대학 로스앤젤레스(UCLA) 뉴장르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수여했다.


Add To Cart